기초통계 39

[통계학의 이해] 19. 유의확률(p-value)과 모비율에 대한 검정 - 가설검정과 신뢰구간 (예제)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유의확률(p-value) 개념 알기 모비율에 대한 가설검정 💡 유의성 검정, 유의확률, 모비율, 중심극한정리, 신뢰구간 1. 가설검정과 신뢰구간의 관계 100(1-α)% 신뢰구간(양측)과 유의수준 α에서의 가설검정(양측)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. 🤝 둘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대표본에서 모평균 μ의 양측가설에 대한 기각역을..

기초통계 2023.10.21

[통계학의 이해] 19. 유의확률(p-value)과 모비율에 대한 검정 - 모비율에 대한 가설검정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유의확률(p-value) 개념 알기 모비율에 대한 가설검정 💡 유의성 검정, 유의확률, 모비율, 중심극한정리, 신뢰구간 이번에는 모집단에서 어떤 속성의 비율 p 에 대한 검정을 알아보자. 1. 모비율에 대한 가설검정 모비율의 추정치는 표본비율로 구할 수 있다. 실제 지지율을 p라고 하면 귀무가설은 실제 지지율을 50% 미만이라고 주..

기초통계 2023.10.18

[통계학의 이해] 19. 유의확률(p-value)과 모비율에 대한 검정 (예제)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유의확률(p-value) 개념 알기 모비율에 대한 가설검정 💡 유의성 검정, 유의확률, 모비율, 중심극한정리, 신뢰구간 유의확률을 이용한 검정 예제로 알아보기 예제1) p-value가 문제에서 제시한 유의수준 0.05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.

기초통계 2023.10.18

[통계학의 이해] 19. 유의확률(p-value)과 모비율에 대한 검정 - 유의확률(p-value)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유의확률(p-value) 개념 알기 모비율에 대한 가설검정 💡 유의성 검정, 유의확률, 모비율, 중심극한정리, 신뢰구간 이전 차시까지는 검정통계량을 이용해서 검정을 실시했다. 보통 유의수준 5%에서 검정기준(기각역)과 검정통계량을 비교. 유의수준은 제1종오류의 최대허용한계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다르게 책정할 수 있다. 이런 상황에..

기초통계 2023.10.18

[통계학의 이해] 18.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3 - 모집단이 정규분포가 아닌 경우 #중심극한정리 - 예제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3 💡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닌경우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가 아니라면? 표본의 크기가 큰 경우 모집단이 정규분포가 아닌 경우에는 '중심극한정리'를 이용하면 모평균에 대한 검정을 수행할 수 있다. 중심극한정리 평균이 μ 이고 분산이 σ² 인 임의이 모집단에서 뽑은 확률표본의 평균 Xbar의 분포는 표본의..

기초통계 2023.10.04

[통계학의 이해] 18.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2 : t-검정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2 💡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지만 모분산을 모를 때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지만 모분산을 모를 때 모평균의 가설검정 알아보기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에 있어서 실제로는 모분산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. 검정통계량 Z의 분모가 σ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σ를 알고 있다면 검정통계량 Z를 사용할 수 있다. 그러나..

기초통계 2023.10.04

[통계학의 이해] 18.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- 예제 풀이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💡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일 때 모평균에 관한 추정을 할 때 표본평균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보편적이다. 마찬가지로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을 할 때도 표본평균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고, 표본평균의 분포인 표본분포를 이용하여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할 수 있다.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일 때 예제로 모평..

기초통계 2023.09.30

[통계학의 이해] 17. 가설검정의 원리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통계적 가설검정의 기본 용어 통계적 가설검정의 원리와 절차 💡 1. 통계적 가설검정 2. 통계적 가설검정의 절차 📖 가설검정, 통계적 가설검정, 귀무가설, 대립가설, 제1종오류, 제2종오류 1. 통계적 가설검정 # 통계적 가설검정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정보를 이용해서 미지의 모수에 대한 주장 혹은 단순한 추축, 즉 가설의 옳고 ..

기초통계 2023.09.30

[통계학의 이해] 16. 신뢰구간의 이해 -2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모평균 및 모비율의 신뢰구간을 구하는 방법 알기 모비율 추정에서 표본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 알기 💡 1. 모평균에 대한 신뢰구간 2. 모비율에 관한 신뢰구간 3. 모비율의 추정에서 표본의 크기 결정 📖 모평균, 모비율, 중심극한정리, 오차의 한계 1. 모평균에 관한 신뢰구간 평균이 μ , 분산이 σ² 인 임의의 모집단에서 크기가 X..

기초통계 2023.09.26

[통계학의 이해] 15. 신뢰구간의 이해 -1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신뢰구간의 기본 개념 알기 모평균의 신뢰구간 구하는 방법 💡 1. 신뢰구간의 기본 개념 2. 모평균에 대한 신뢰구간 📖 신뢰구간, 신뢰수준, 오차한계, 표준오차, t분포 1. 신뢰구간의 기본 개념 # 구간추정 관심 있는 미지의 모수(θ)가 있을 때, 미지의 모수(θ)가 속할 것이라고 기대되는 구간을 제시하여 추정하는 것 이러한 구간..

기초통계 2023.09.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