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의수준 6

[통계학의 이해] 19. 유의확률(p-value)과 모비율에 대한 검정 (예제)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유의확률(p-value) 개념 알기 모비율에 대한 가설검정 💡 유의성 검정, 유의확률, 모비율, 중심극한정리, 신뢰구간 유의확률을 이용한 검정 예제로 알아보기 예제1) p-value가 문제에서 제시한 유의수준 0.05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한다.

기초통계 2023.10.18

[통계학의 이해] 18.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- 예제 풀이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 💡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일 때 모평균에 관한 추정을 할 때 표본평균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보편적이다. 마찬가지로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을 할 때도 표본평균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고, 표본평균의 분포인 표본분포를 이용하여 모평균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할 수 있다.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일 때 예제로 모평..

기초통계 2023.09.30

[통계학의 이해] 17. 가설검정의 원리

📌 본 포스팅은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) 이러닝 교육과정 '통계학의 이해(2023)' 강의에 대한 복습 기록입니다. 모든 내용은 강의 교안을 기준으로 작성했으며 원본 자료는 하단 통계교육원 - 교육과정 - 이러닝 - '통계학의 이해' 교육 수강을 통해 무료로 열람 가능하고 교육자료는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무단 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. 🎯 통계적 가설검정의 기본 용어 통계적 가설검정의 원리와 절차 💡 1. 통계적 가설검정 2. 통계적 가설검정의 절차 📖 가설검정, 통계적 가설검정, 귀무가설, 대립가설, 제1종오류, 제2종오류 1. 통계적 가설검정 # 통계적 가설검정 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의 정보를 이용해서 미지의 모수에 대한 주장 혹은 단순한 추축, 즉 가설의 옳고 ..

기초통계 2023.09.30

예제를 활용한 가설검정과 분석도구

📢 본 포스팅은 통계청 통계교육원(https://sti.kostat.go.kr/coresti/site/main.do) 의 이러닝 교육과정 통계패키지 학습을 위한 필수 통계지식(2023) 교육 자료를 기반으로 한 학습입니다. 교육자료 원본은 하단 사이트 내 수강 신청하시면 강의와 함께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. https://sti.kostat.go.kr/coresti/site/edu/edu_ulearn/list.do?gmenu=3&rmenu=01&cmenu=0104 가설검정과 분석도구 일표본 평균 검정에 대한 문제이다. Q 1인 가구의 생활비가 (N=170, σ=10)를 따른다고 알려져 있다. 하지만 최근 1인 가구 생활비가 170만원보다 커졌다고 하는 반론이 강하게 제기되었다. 이를 검정하려고 한다. 1인..

기초통계 2023.09.04

[기초통계] 통계적 가설 검정

통계적 가설 검정 Karl Pearson, Ronald Fisher 등 통계학의 초기 인물들이 개발한 절차 • 반증주의 철학에 기반하고 있어 일반적인 과학적 가설 검정과 다르며, 많은 비판이 있었으나, 오랫동안 쓰여왔기 때문에 여전히 널리 쓰임. 통계적 가설 검정의 절차 귀무가설 수립 → 유의수준(α) 결정 → p-값 계산 → p값과 유의수준 비교 (1) 귀무가설 수립 • 귀무가설 null hypothesis : 기각하고자 하는 가설 • 대립가설 alternative hypothesis : 주장하고자 하는 가설 (2) 유의수준 결정 • 유의 수준 (α) significance level : (100% - 신뢰수준) (3) p-값 계산 • p-값 : 귀무가설이 참일 때 검정통계량 이상이 나올..

기초통계 2022.08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