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초통계

상호작용과 인과 : 인과효과

2022. 9. 13. 15:08

상호작용과 인과 : 인과효과

 

인과관계는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.

 


증거의 사다리

각각의 기법이 주는 증거의 수준  '어떤 증거가 더 우월한 증거인가?
더 높은 수준의 기법이 주는 결과는 더 진실에 가까움 

 

1.  실험적 통제
2.  무작위 대조군
3.  준실험
4.  반사실


실험적 통제

처치를 제외한 다른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


•  인과관계를 확인할 수 있는 최선의 조건
•  물리학, 화학 등 일부에서만 가능

   예) 실험용 쥐(유전자가 다 똑같은 일란성 쌍둥이임)로 실험 : 즉 실험조건 왜 모든 것을 동일하게 맞춰줌.


 

무작위 대조군

모든 조건을 완벽하게 통제할 수 없을 경우

•  실험군과 대조군에 무작위 할당
•  표집 오차가 있을 수 있음
•  생물학, 사회과학 등에서 주로 사용

 

☑ 일반적으로 무작위 대조군 실험이 까다로운 이유는?

추석 선물이 애사심에 영향이 있을까?

> 직원들을 랜덤하게 나누어 선물을 각각 다르게 증정 ← 실험 불가능(서로 영향을 주므로 사실상 하기 어렵다)

 

 


 

준실험  quasi-experiment

대조군이 없거나 무작위 할당을 하지 않았지만 실험과 비슷한 상황


•  자연적으로 무작위 할당과 비슷한 결과가 생긴 경우

 

예)

일시적으로는 의도적으로 실험을 한 것 같은 상황이 발생했을 때,

트럭 2대가 회사 추석선물을 싣고 오다가 한대가 사고가 나서 직원 일부가 선물을 받지 못함.

 

> 실험을 못하는 상황에서는 준실험이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.


대조군 자체가 없다면?

 

반사실  counterfactual

순수한 관찰 결과만을 가지고 인과관계를 추측

 

• 어떤 일이 벌어지지 않았을 때 일어날 일을 예측하는 모형이 필요
•  모형의 예측과 실제의 결과를 비교하여 인과관계를 추론

 

예)

TV광고는 기타 매체 광고와는 다르게 대조군을 나눌수가 없다. (동시 송출)

광고 > 매출 상승tv광고 관계자 : 내가 광고를 잘한 것이다.다른 사람들 : 광고를 안해도 매출이 올라갈 거였어

 

실제로 일어나진 않았지만(counterfactual) 현실에 반해서 이렇게 갈거였다는 주장과 현실(fact)와의 인과관계를 주장하는 방식